오늘 '언니네 산지직송'이라는 프로의 본방을 보던 중에 눈에 너무 익은 장소가 나와서 보니 여름철이면 거의 매년 찾았던 바로 그 하모횟집이 나왔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jlnfQ/btsJcRZyjt7/DeX48Hj0NrmyHU9ga6vhR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kdt4/btsJdpnOLi0/EIaRETPSnHghsubWDkyOy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Bund/btsJchxAeJC/q3mOMcdRUTmjXvRwVx7Qr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KFXC9/btsJc6oDEGn/IPxc46HEqSrTYvBa6pVV80/img.jpg)
너무 반갑다.
내가 앉았던 그곳에 연예인들이 가서 앉아 있으니 감회가 새롭구먼. ㅎㅎ
반가운 마음에 몇 자 적어본다.
장어에는 여러 종류가 있고 크게는 바닷장어, 민물장어가 대표적이다.
거기에서도 여러 갈래가 있겠지만, 일단 아는 것만 이야기해 보자.
대부분 바다 장어는 붕장어(아나고)를 연상하는데 여름철이 되면 갯장어(하모)가 제철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z54Gx/btsJbfHrZoD/iL06U4ApSbUK8fmeNXJmx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c1uD/btsJc6hTGgB/5sbBiwdbKo4TCxBObRKTN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eMpJE/btsJbhL6xhY/HNOA9WCyVtKIfeZvP5hka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NhQg/btsJbx82rVW/CIWTlF2fdkjUgaoAApA4V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9lu5C/btsJcUok5ve/jESww4QuH4u5wtCM6OMVj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w6olB/btsJcU9DimC/N0kOtpKcvjHkITOmlwl38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oymN/btsJb4ZBZlf/KzBDO9yqjXGbUIo02DWP6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CHCR/btsJbrgBZbh/N2rDQOzBBtCbZUxZGKENRK/img.jpg)
위의 사진들은 2015년쯤인가 사진인데 보통 6월 하순경에 이곳을 찾곤 했다.
이때 처음 맛본 하모는 완전 신세계였더랬지.
붕장어(아나고)와는 또 다른 맛!
나는 회보다는 샤부샤부가 정말 맛있었다.
붕장어는 부산, 기장 부근에서 아주 유명한 장어이고 경남 고성 쪽으로 내려오면 붕장어보다는 갯장어(하모)가 유명하다.
일단 아는 건 여기까지 다음은 네이버 지식백과에서~
- 갯장어(하모)
몸은 길이 2m까지 크며 원통형으로 붕장어와 유사하다. 등 쪽은 다갈색이며 배는 흰색이다. 이빨은 매우 날카롭다. 수심이 얕은 연안의 바위와 모래가 있는 지역에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주로 무척추동물을 먹고 산다. 6-7월경에 산란한다. 알이 부화하면 버들잎 모양의 유생기를 거쳐 변태 한다. 서해와 남해, 제주도, 동해 남부에 서식하며 일본, 대만(타이완), 호주 북부 및 인도양까지 분포한다. 주로 5-11월에 잡힌다. 뼈가 억세어 살만 발라 횟감이나 샤부샤부 재료로 이용한다. 여수 지방에서는 참장어, 개장어, 이장어, 갯붕장어, 완도에서는 붕장어, 녹장어 등으로 부른다. ‘하모’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일본 이름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B1T8i/btsJbhL7CpV/nnHSs52uRk6g2winhjDU0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J7D1/btsJcL6fUw6/tnRkPuK3N8sHJVfmugWXbK/img.jpg)
이건 기장의 붕장어(아나고)회.
확실히 다져진 모양에 차이가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Dv5V/btsJcQl2J8n/EtlVsoygrM5wVp4THOUuy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hnyOY/btsJcHCLXdn/KDs4u3cwKmoRq1SMf7Zh8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iZF6/btsJdHofB7j/BqwPx8Nkdeo5w7YsoxSi2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kmq0h/btsJbehu6rt/kT88NzA4ClH10HlTkigDd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v4hav/btsJdApfjFr/qSh1mPU0DTO6UA51pNB7Z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ZGUv/btsJbeIz6DF/VupEBgn20WBbZrEanzIrF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bujbl/btsJdcbap8P/aYE7U9jiZDKMAh3cBKyRL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JTqa/btsJcOaO5Zy/rFqjgZHA42LbMOXFZkgXb0/img.jpg)
그리고 이건 2016년 엄마와 누나와 함께 갔던 고성의 그 집, 그 하모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Or9AD/btsJciJYwUq/x8qaz2f9JCeVchc82Usyp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N6QG/btsJcVOkSnu/Qsq2gxpp45R5nFWkQSCjV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7reWs/btsJclfKRfq/iWysV3mhP7PRxD0TfKnme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BUhs/btsJbymALmq/0q6H0tTz5MEn7rwUO8X6I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4weT/btsJcHiv0w5/yd2w9GKlLtw1AFkNP4fSH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qf9E/btsJbZDWVHI/yTwE9SH2lNaaLNOEuVqkq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2gpW/btsJbIvFely/dskA0Std5MaoOQc2BJkRw1/img.jpg)
그리고 제일 최근인 2020년의 그 집.
해마다 6월 하순이면 생각나서 찾았던 집인데 경기가 안 좋아지다 보니 멀기도 해서 뜸해졌는데 오늘 방송보고 생각이 나서 추억에 한번 빠져 봤다.
그나마 엄마가 계실 때 함께 했던 집이기도 해서 반갑기도 하고 자꾸 보니 먹고 싶네 ㅎㅎ
(아니고는 아나고 먹고 하모는 하모 먹고 ~ 19🚫 농담도 있는데 이건 각자 해석하시길~ 패스~ㅎ)
'Gooni's Foo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김치 사발면 (어쩌다 2순위) (0) | 2024.11.30 |
---|---|
다시부산 (9호) (0) | 2024.08.30 |
이모카세 (거제 중곡동) (0) | 2024.08.03 |
속초식 명태회냉면 그리고 평양냉면 (내돈내산) (0) | 2024.04.30 |
엄용백 돼지국밥 (부산 수영구) (2) | 2024.04.14 |